본문영역
평가 및 조사
시청자들을 만족 시키는
방송이 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프로그램 품질평가
평가 개요
프로그램 품질평가는 시청자의 행동 반응을 나타내는 시청률과는 달리, 시청자의 심리적 반응을 측정하여 평가하는 것입니다. 이를 위해
시청자가 직접 지상파 TV 채널 (KBS1, KBS2, MBC, SBS) 에서 방송된 프로그램 가운데 자신이 시청한 프로그램의
품질을 인터넷을 통해 평가하게 됩니다.
평가결과는 프로그램 성과평가(제작진)에 반영될 뿐만 아니라 사내 피드백을 통해
편성전략 수립 및 프로그램 경쟁력 제고 등을 위한 각종 기초 자료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2016년까지는 반기별(상·하반기)로
실시되다가 2017년부터 분기별로 실시되고 있음.
2012~2014년
장르별(뉴스/보도, 시사, 토론, 교양, 다큐, 인포테인먼트, 버라이어티, 음악/쇼, 코미디, 시트콤, 드라마 등) 프로그램에 대해 제작요소, 만족도, 가치 등을 측정하는 평가항목(설문)으로 구성
2015년 이후
장르와 상관없이 PSI 3문항(제작완성도, 정보지향, 감성지향)으로 구성
- 2015년 상반기부터 프로그램의 본질을 명확하게 평가할 수 있는 축약적인 지수인 PSI지수로 교체
시행함.
(전문가 자문의뢰 및 제작부서 설명회를 통해 프로그램 품질평가 지수 교체 사업을 진행하였음.)
2012~2014년
각 설문 문항(평가항목)을 10점 만점의 척도로 측정 한 뒤, 이를 100점으로 환산하여 품질평가 점수를 산출함.

2015년 이후
각 설문 문항(평가항목)을 10점 만점의 척도로 측정 한 뒤, 이를 100점으로 환산하여 품질평가 점수를 산출함.

연도별 평가결과 요지
KBS2 2위
연도·분기별 프로그램 평가
- KBS1
- KBS2
- MBC
- SBS
연도·분기 | KBS1 | KBS2 | MBC | SBS |
---|
압도적 우위 채널별 상위 30위 이내 프로그램 수
: KBS1이 압도적으로 많음
채널별 상위 30위 이내 프로그램 수
- KBS1
- KBS2
- MBC
- SBS
연도·분기 | KBS1 | KBS2 | MBC | SBS |
---|
채널별 뉴스 품질평가 지수
- KBS 뉴스9
- MBC 뉴스데스크
- SBS 8시뉴스
연도·분기 | KBS 뉴스9 | MBC 뉴스데스크 | SBS 8시뉴스 |
---|

KI 조사 결과
조사 개요
KI(KI, KCC Index) 시청자평가 지수 조사는 방송통신위원회가 개발한 지표(2006년부터 적용, 현재는 KISDI에서 담당)로 개별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와 채널에 대한 평가로 구분하여 설계되었다.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는 만족도(SI) 평가와 품질(QI) 평가로 구성, 각각 11점 척도(0점-10점)로 측정하며 방송사 채널에 대한 평가는 흥미성, 다양성, 신뢰성, 유익성, 창의성, 공정성, 공익성의 7대 영역으로 구성되어있다.
매년 4월 업데이트- ①패널 구성 : 전국 만 13세 ~ 69세 시청자를 대상으로 성, 연령, 지역별 인구비례에 따른 온라인 패널
- ②조사 시기 : 연 4차례, 분기별 5회 시행
- ③표본 크기 : 1회당 2,400명 / 총 48,000명
시청자평가지수(KI)
조사
최종 응답자수 : 지상파 방송사 39,777명 / 종합편성채널 35,793명 (지상파 응답자의 약 90% 수준)
각 채널 간 응답자 수와 평가된 방송프로그램 수, 방송프로그램 다양성 등에 차이가 있으므로 각 채널의 평가 결과를 동일한 기준으로 비교하는 것은 문제가 있을 수 있으니 유의할 필요가 있음.
설문 문항
구분 | 내용 | 설문 문항 |
---|---|---|
SI | 프로그램 만족도 평가 (11점 척도 / 0~10점) |
귀하께서 시청하신OOO 프로그램에 대해 전반적으로 얼마나 만족하십니까? |
QI | 프로그램 질적 수준 (11점 척도 / 0~10점) |
귀하께서 시청하신 OOO 프로그램이 질적으로 얼마나 우수하다고 생각하십니까? |
KI | SI와 QI의 평균, KI=(SI + QI)/2 |
평가 항목
구분 | 설문 문항 |
---|---|
흥미성 | 채널 [OOO]는 재미있다 |
다양성 | 채널 [OOO]는 다양한 내용을 전달했다 |
신뢰성 | 채널 [OOO]는 믿을 수 있는 내용을 전달했다 |
유익성 | 채널 [OOO]는 유익했다 |
구분 | 설문 문항 |
---|---|
창의성 | 채널 [OOO]는 새롭거나 신선했다 |
공정성 | 채널 [OOO]는 공정했다 |
공익성 | 채널 [OOO]는 공공의 이익을 우선했다 |
코코파이 지수
조사개요
1인가구의 증가, N스크린의 발달 등 시청자의 라이프 스타일과 시청환경의 변화로 기존 시청률 지표는 제대로 된 시청 형태를 담기 어렵다는 지적이 많습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KBS는 닐슨컴퍼니코리아와 함께 '대한민국 콘텐츠 이용 통합지수'인 코코파이(Korea Content Program Index for Evaluation)를 개발했습니다.
코코파이는 TV를 통한 다양한 시청행위를 담는 지수로 콘텐츠에 대한 본방, 재방, 유통채널 및 VOD 이용 등 콘텐츠 이용에 대한
통합시청자수를 살펴볼 수 있는 지표로 KBS의 프로그램을 제작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조사방법
통합시청자수
- 조사대상
- 본방, 재방 : KBS1, KBS2, MBC, SBS, EBS , JTBC, MBN, TV조선, 채널A, tvN 등 10개 채널을 통해 방영된 전국 방송 프로그램(로컬프로그램 제외)
-
유통채널 :
KBS계열(6), MBC계열(6), SBS계열(8), CJ E&M(13), JTBC 계열(4), MBN계열, MBN계열(2), TV조선계열(1), 채널A계열(1),
Tcast계열(10), iHQ계열(4) 등 MPP계열 55개 채널 - VOD : IPTV, 디지털케이블, Skylife에서 제공하는 VOD와 TV를 통한 웨이브(Wavve), 유튜브(Youtube), 티빙(Tving) 등 이용도 측정
-
본방송
시청자수 + -
재방송
시청자수 + -
유통채널
시청자수 + -
TV-VOD
시청자수

- 본방송 시청자수는 시청자수 일보
- 본방송과 재방송 및 유통채널 시청자 수를 합한 주간 프로그램 평가 지수는 전체 통합시청자수의 70%
- TV-VOD 시청자수는전 체 통합시청자수의 30%로 VOD 수집 후 제공되며 방송 후 7일까지 집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