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영역
KBS 소개
공영방송 KBS는 시청자들에게
신뢰받는 방송이 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상 자막을 볼 수 있습니다자막보기
1927년 한반도 최초!
경성방송국의 라디오 전파 발사
1973년 한국방송공사 창립
한국방송의 역사를 새롭게 써온 KBS
(역대 방송프로그램, 뉴스 화면 흐름)
2022 더~ 재밌고 더~ 새롭게
뉴트로 KBS
진정한 국민의 방송으로
새롭게 시작 START!
서울부터 LA까지
송해도 윌리엄도
언제 어디서나
당신이 KBS
코로나가 안끝나도
재미를 지켜드립니다
글로벌 힙스터
KBS에 몸을 맡겨요우오~
세계로 뻗어가는 KBS
정통 K-사극의 자존심
연모-NETFLIX 비영어 시리즈 4위
달이 뜨는 강 · 꽃 피면 달 생각하고
대하드라마의 귀환 - 태종 이방원
(빨강구두의 한 장면)난 무죄야
시청률 도둑 일일 · 주말드라마
신사와 아가씨 최고 34.5%
빨강구두 최고 19.2%
드라마 스페셜 보석같은 지상파 유일 단막극
지상파 유일 단막극 - 드라마 스페셜
당신이 찾던 후레쉬함
시청자여러분께 상큼하게 응답하겠습니다
마스크를 뚫었다 예능프로그램
국민 코디미의 부활 - 개승자
시련에도 끄덕없다! 주말 예능 1위-1박2일
소리질러! - 경연프로그램
원조 예능맛집의 위엄 - 갓파더, 오늘부터 무해하게
(대한민국 어게인 나훈아, 피어나라 대한민국 심수봉, We're HERO 임영웅 각 장면)
안방에서 느끼는 감동 대공연
스포츠 중계도 KBS가 완승
2022 베이징 동계 올림픽
2022 카타르 월드컵
(1박2일의 연정훈)와 이거 되게 쫄깃쫄깃하다
(백종원 면발 빨아들이는 모습) 쫄~깃한
고달픈 청춘도
아버지와 아들도
사이좋은 부부도
꿈나무들도
설레게 만드는
(김갑수) 하트브레이커♥
연모할 수 밖에 없는 KBS
(임영웅 피아노치며 노래) 이젠 나만 믿어요~
까르페디엠(즐기세요) 질주만 남았다
올해도 대박 칠게요
비켜! 야~~
(이단옆차기하는 장면)
호랑이 기운으로 솟아나겠습니다
-KBS-
경성방송국의 라디오 전파 발사
1973년 한국방송공사 창립
한국방송의 역사를 새롭게 써온 KBS
(역대 방송프로그램, 뉴스 화면 흐름)
2022 더~ 재밌고 더~ 새롭게
뉴트로 KBS
진정한 국민의 방송으로
새롭게 시작 START!
서울부터 LA까지
송해도 윌리엄도
언제 어디서나
당신이 KBS
코로나가 안끝나도
재미를 지켜드립니다
글로벌 힙스터
KBS에 몸을 맡겨요우오~
세계로 뻗어가는 KBS
정통 K-사극의 자존심
연모-NETFLIX 비영어 시리즈 4위
달이 뜨는 강 · 꽃 피면 달 생각하고
대하드라마의 귀환 - 태종 이방원
(빨강구두의 한 장면)난 무죄야
시청률 도둑 일일 · 주말드라마
신사와 아가씨 최고 34.5%
빨강구두 최고 19.2%
드라마 스페셜 보석같은 지상파 유일 단막극
지상파 유일 단막극 - 드라마 스페셜
당신이 찾던 후레쉬함
시청자여러분께 상큼하게 응답하겠습니다
마스크를 뚫었다 예능프로그램
국민 코디미의 부활 - 개승자
시련에도 끄덕없다! 주말 예능 1위-1박2일
소리질러! - 경연프로그램
원조 예능맛집의 위엄 - 갓파더, 오늘부터 무해하게
(대한민국 어게인 나훈아, 피어나라 대한민국 심수봉, We're HERO 임영웅 각 장면)
안방에서 느끼는 감동 대공연
스포츠 중계도 KBS가 완승
2022 베이징 동계 올림픽
2022 카타르 월드컵
(1박2일의 연정훈)와 이거 되게 쫄깃쫄깃하다
(백종원 면발 빨아들이는 모습) 쫄~깃한
고달픈 청춘도
아버지와 아들도
사이좋은 부부도
꿈나무들도
설레게 만드는
(김갑수) 하트브레이커♥
연모할 수 밖에 없는 KBS
(임영웅 피아노치며 노래) 이젠 나만 믿어요~
까르페디엠(즐기세요) 질주만 남았다
올해도 대박 칠게요
비켜! 야~~
(이단옆차기하는 장면)
호랑이 기운으로 솟아나겠습니다
-KBS-
KBS (Korean Broadcasting System)는 1927년 경성방송국으로 국내 최초로
라디오 방송을 송출하기 시작해 해방 후 1947년 서울중앙방송으로 재 출범
하였습니다.
1961년 TV 방송을 시작했으며 1973년 한국방송공사로 공영방송 체제를 갖춰
오늘에 이르고 있습니다.
KBS는 지상파 TV방송 4개 채널(HD 1·2TV·UHD 1·2TV), 위성 TV방송 2개 채널
(KBS World, KBS KOREA), 라디오방송 7개 채널, 지상파 DMB 방송 4개 채널과
my K 등뉴미디어 서비스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라디오 방송을 송출하기 시작해 해방 후 1947년 서울중앙방송으로 재 출범
하였습니다.
1961년 TV 방송을 시작했으며 1973년 한국방송공사로 공영방송 체제를 갖춰
오늘에 이르고 있습니다.
KBS는 지상파 TV방송 4개 채널(HD 1·2TV·UHD 1·2TV), 위성 TV방송 2개 채널
(KBS World, KBS KOREA), 라디오방송 7개 채널, 지상파 DMB 방송 4개 채널과
my K 등뉴미디어 서비스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본사는 서울 여의도에 위치하고 있으며 전국 9개 주요도시에 방송총국, 9개 지역에 방송국을 운영하고 있고, 미국, 유럽, 중국, 일본 등
11개 지역에 해외지국을 개설해 기자와 PD 특파원을 상주시키고 있습니다.
KBS는 TV 수신료와 광고 수입으로 운영하고 있으나 공영성 강화를 위해 1TV와 1라디오에는 1994년 10월 이후 광고를 하지 않고 있습니다.
KBS는 문화예술의 진흥을 위해 1,600석이 넘는 규모의 KBS홀을 보유하고 있으며, KBS 교향악단과 KBS 국악관현악단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또, 산간 및 도서벽지의 난시청 해소에도 노력하고 있으며 차세대방송 서비스를 선도하고 서비스 혜택을 무료로 제공하기 위한 연구와 사업을 지속하고 있습니다.
KBS는 TV 수신료와 광고 수입으로 운영하고 있으나 공영성 강화를 위해 1TV와 1라디오에는 1994년 10월 이후 광고를 하지 않고 있습니다.
KBS는 문화예술의 진흥을 위해 1,600석이 넘는 규모의 KBS홀을 보유하고 있으며, KBS 교향악단과 KBS 국악관현악단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또, 산간 및 도서벽지의 난시청 해소에도 노력하고 있으며 차세대방송 서비스를 선도하고 서비스 혜택을 무료로 제공하기 위한 연구와 사업을 지속하고 있습니다.
설립 목적 및 기능
국가기간방송 KBS는 방송법 제43조 제1항에서 명시하고 있듯이 공정하고 건전한 방송문화를 정착시키고 국내외 방송을 효율적 으로 실시하기
위하여 설립되었습니다.
공영방송으로서 KBS는 사회환경 감시 및 비판, 여론형성, 민족문화창달이라는 언론의 기본적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모든 시청자가 지역과
주변여건에 관계없이 양질의 프로그램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무료 보편적 서비스제공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한편, KBS는 내부 혁신을
바탕으로 고품위 고품격 프로그램을 제작하는데 모든 역량을 결집하고 있으며, 이렇게 제작된 프로그램들 국내는 물론 전세계 곳곳으로
방송함으로써 우리문화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는 한편, 한국문화의 세계화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
KBS
-
건전한
방송문화정착 -
민족문화
창달 -
한국문화의
세계화
연혁
1927 - 1988

- 1927라디오 방송 개시(JODK)
- 1947ITU에서 한국에 호출부호 ‘HL’ 할당, KBS (중앙방송국) 출범
- 1948국영방송 발족
- 1961텔레비전방송 개국
- 1973한국방송공사(KBS) 창립 (공영방송 출범)
- 1980텔레비전 컬러방송 시작, 광고방송 실시
- 1985음성다중방송 실시
- 1986아시안게임 주관방송 실시
- 1988서울올림픽 주관방송 실시
1990 - 2004
- 1990KBS 방송강령 제정
- 1994수신료 징수제도 개선(한전 위탁징수), 1TV 광고폐지
- 1995인터넷 방송 개시
- 1997제34차 아시아 태평양 방송연맹 (ABU) 서울총회 개최
- 2000제3라디오 사랑의 소리방송 개국, 2라디오 FM방송 개시
- 2001지상파 디지털TV 본방송 개시
- 2002한·일 월드컵 공식방송 실시, 부산 아시안게임 주관방송 실시
- 2003국제위성방송 KBS WORLD 개국, KBS 윤리강령 제정
- 2004지역국 기능 조정(9총국 9지역국으로 개편)

2005 - 2022

- 2005APEC 2005 KOREA 주관 방송 실시, KBS 지상파 DMB <U KBS> 개국
- 2006MMS(멀티모드서비스) 시험방송
- 2007지상파 DMB 전국방송실시, 세계공영방송총회 개최
- 2010G20 서울정상회의 주관 방송 실시
- 2011대구육상선수권대회 3D 중계방송
- 2012여수엑스포 주관방송 실시
- 2013국제방송 개국 60주년, KBS월드 개국 10주년
- 2014프란치스코 교황 방한 주관방송, ITU 전권회의
주관방송,
WORLD 24 해외서비스 출범 - 2015특별생방송 <이산가족을
찾습니다>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 (방송기록물로는 세계2번째) - 2016지상파 UHD 방송사업 허가 취득
- 2017세계최초 지상파 UHD 본방송 개시
- 2018남북정상회담 주관방송사
- 2019KBS <방송편성규약> 개정
- 2020KBS <투명성 강화 매뉴얼> 공표
- 2021제주 UHD TV 방송국 개국
- 2022<연모>, 한국드라마 최초 국제 에미상 수상